작성일 : 24-12-11 09:42
뇌졸중 식단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412  
  • 뇌졸중식단뇌졸중식
    관련질환
    뇌졸중
    동의어
    cerebral infarction, 삼킴곤란, 연하곤란, 삼킴장애, 연하보조식
식사요법의 필요성

뇌졸중으로 인해 삼킴곤란이 발생한 경우는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전하게 삼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사 형태의 변형, 식사 자세의 교육이 필요합니다.

식사요법의 실제

1. 구강 식사만으로 충분한 영양분과 수분섭취가 어려우면 비위관 및 위루관을 통한 위관영양을 전문가 관찰 하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2. 4주 미만의 위관영양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위관 영양요법을, 4주 이상 위관 영양이 필요한 경우는 위루관을 권장합니다.
3. 경구로 식사가 가능한 경우는 식사의 점도, 질감을 조절하여 액체 형태보다 걸쭉한 형태(꿀농도, 넥타 농도 등)의 식사를 합니다.

권장 식품

1. 물, 주스, 우유 등 액상 형태의 대부분의 식품은 '점도증진제(음식의 점도 조절용)'를 섞어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2. 삼킴 장애가 심하고 씹지 못 할 때는 밥보다는 죽을 쑤어 블렌더로 곱게 갈아 꿀농도만큼 걸쭉하게 드시길 권장합니다.  반찬(고기, 생선살 나물 등)도 익힌 후 죽을 함께 넣고 블렌더로 곱게 갈아 걸쭉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3. 우유 대신 요거트를 권장합니다.

주의 식품

삼킴곤란 시 물, 주스, 우유 등 액체 형태의 식품 섭취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 외 주의사항

1. 삼킴곤란 시는 흐르는 액체 형태의 물, 주스, 우유등은 기도로의 흡인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래나 기침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정확한 의료진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2. 식사 섭취 시 작은 숟가락을 사용합니다.
3. 베개로 등뒤와 옆구리를 받치거나 의자에 허리를 펴고 앉아 턱은 약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식사합니다.
4. 보호자의 관찰 하에 식사합니다.
5. 탈수를 방지하기위해 점도증진제를 적절히 이용하여 수분 섭취를 합니다.

추천 식단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1,48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24 뇌경색 식단 웹섬김이 12-11 425
1423 뇌졸중 식단 웹섬김이 12-11 413
1422 급성 췌장염 식단 웹섬김이 12-11 468
1421 당뇨병 식단 웹섬김이 12-11 466
1420 대사 증후군 식단 웹섬김이 12-11 428
1419 대장암 식단 웹섬김이 12-11 373
1418 만성 췌장염 식단 웹섬김이 12-11 422
1417 만성피로 식단 웹섬김이 12-11 344
1416 변비 식단 웹섬김이 12-11 328
1415 소화불량 식단 웹섬김이 12-11 336
1414 아토피성 피부염 식단 웹섬김이 12-11 355
1413 알츠하이머성 치매 식단 웹섬김이 12-11 346
1412 위암 식단 웹섬김이 12-11 348
1411 위식도 역류성 질환 식단 웹섬김이 12-11 344
1410 유방암 식단 웹섬김이 12-11 429
1409 전립선암 식단 웹섬김이 12-11 410
 1  2  3  4  5  6  7  8  9  10